취미

애착유형 (불안정-집착형)

uragiljay 2023. 2. 17. 00:17
반응형

블로그 조회수에 지배 당해 작성하는 애착유형 시리즈 2

지난 글에 작성한 공포회피형에 이어서 불안정-집착형은 어떤 유형?

그들이 다른 유형의 사람과의 관계에서 갖는 문제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중에서도 공포회피형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지난 작성 글 바로가기

 

애착유형? 들어보셨나요? 저는 공포-회피형 입니다

한동안 핫한 MBTI 에 이어 부상하고 있는 심리분석 '애착유형' 에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오은영 박사님이 애착유형에 대하여 방송에서 언급하며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을 갖는 계기가

uragil-jay.tistory.com



1. 불안정-집착형 (자신 부정/ 타인 긍정) 

불안정 집착형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지나치게 의존하고 강한 집착을 보이는 성향을 말하며

이러한 유형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매우 민감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불확실성과 부족함을 느끼기 쉽다.

 

불안정 집착형의 특징으로는, 상대방이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거나, 상대방이 다른 사람과 친하게 지낼 때 질투하거나, 상대방이 나쁜 말을 하면 심하게 상처받는 등 강한 감정적 반응을 보이기 쉽다.

이러한 특성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긴장감을 유발하고 때로는 불필요한 갈등과 충돌을 유발하기 쉽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려는 노력과 상대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거리감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된다.

 

 

2. 친구관계에서는 어떤 모습?

  • 의존적인 태도: 친구가 다른 일에 바쁘거나 계획이 변경되는 등의 이유로 시간을 내지 못하면 상처받은 느낌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상처받은 마음을 이해해 주길 갈구한다.
  • 집착적인 행동: 친구와 지나치게 자주 연락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카톡 숫자 언제 없어지나 수시로 확인하고 왜 연락이 없지 혼자 온갖 잡생각에 빠진다.
  •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행동: 자신의 감정을 제어하지 못하고 너무 많이 드러내는 경우 예로는 기분 좋게 술 한잔 하려고 만났는데 신세한탄하다가 갑자기 우는?
  • 관계에 지나친 의미 부여: 친구가 다른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불안정 집착형은 친구와의 관계에서 비정상적인 기대를 하게 되고, 친구의 삶에 관여를 하려 한다. 이런 친구라면 친구 안 할 듯

 

3. 연인관계에서는 어떤 모습?

  • 과도한 연락과 접근: 상대방과의 연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고 하며, 상대방의 반응이 느리거나 답장이 없는 경우 불안해하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이는 상대방이 자신과 함께 시간을 보내지 않으면 떠나갈 것이라는 생각에 빠지게 되어 스스로를 힘들게 한다. 또 상대방이 바쁘게 일하고 있는 동안에도 수시로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보내기 시작하며, 상대방에게 지속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기도 한다.
  • 지나친 집착: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인한 불안함으로 상대방의 일정을 알릴 때 상세한 정보를 요구하고 자세한 설명을 요청한다. 
  • 불안한 감정 : 상대방과의 갈등이나 불확실성에 대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종종 감정적으로 힘들어 한다. 상대방이 연락을 끊거나 대화를 피할 때, 불안정 집착형은 상대방의 의도를 오해하고, 스스로에게 과도한 부담감을 준다.

 

4. 불안정-집착형과 공포-회피형이 연인으로 만난다면? 

극과 극의 유형임에 만날 일이 없을 것도 같지만 애초에 서로에 빠질 이유가 있다면 유형따위 보이지 않으니까 

  • 의사소통의 부족: 공포 회피형은 충돌이나 갈등이 발생하면 이를 회피하려고 하는 경향으로 대화를 통한 해결보다는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화제의 전환이나 대화 자체를 회피하는데 급급하다. 반면 불안정 집착형은 갈등 상황에서 과도한 불안으로 갈등 해소를 원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
  • 상대방의 요구에 대한 무시: 불안정 집착형은 상대방과의 연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지만, 공포 회피형은 지나친 접근에 대한 부담과 피곤함을 느끼며 자신만의 시간을 원하게 된다. 
  • 서로에 대한 불만: 공포 회피형과 불안정 집착형은 극과 극. 예를 들어, 공포 회피형은 충분히 이해할 만한 갈등 상황에서 불안정 집착형이 과도하게 일을 키우고 집착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고, 불안정 집착형에게 공포 회피형은 갈등 상황을 회피만 하는 것 같아 서로의 행동패턴을 이해하기 쉽지 않다 

물론, 공포 회피형과 불안정 집착형이 서로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소통을 시도한다면 서로 간에 시너지를 얻는 관계로 발전할 수도 있다. 공포 회피형 남성은 신중하고 안정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능숙할 수 있고, 불안정 집착형 여성이 연인에게 큰 애정과 관심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서 서로에게 부족한 부분을 배워 갈 수도 있을 지도?


애착유형 테스트는 4가지의 유형명 보다 각각의 점수가 중요하다.

두 점수가 기준보다 낮다면 안정형이 나오게 되고 점수가 기준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면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

회피 점수(타인에 대한 긍/부정 평가점수) 2.33 기준 

불안 점수(자신에 대한 긍/부정 평가점수) 2.61 기준

애착유형 테스트 바로가기

 

성인애착유형 테스트

불안정애착(혼란)(공포회피형) : 자기부정-타인부정 회피점수 2.33 이상, 불안점수 2.61 이상 나는 남들과 가까워지면 왠지 편안하지가 않다. 나는 정서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원하기는 하지만, 남

typer.kr

 

 

반응형